AMD시스템에서는 램오버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된 점을 누구나 알 수 있을겁니다
램오버 초심자분을 위해 간단하게 따라 하실수 있도록 설명드리겠습니다
라이젠CPU 및 삼성 C다이램 기준입니다 (하이닉스 A다이도 유사)
목차는 아래와 같습니다
제1편. [램오버] 국민램오버 따라하기 (AMD)
제2편. [램오버] 전압다이어트 및 안정화
제3편. [램오버] tRC,tRFC 조일 필요없는 이유 (내용추가)
제4편. [램오버] 홀수 CL값 먹이기 (Gear Down Mode 비활성화)
(2편, 3편, 4편은 별도 게시)
제1편. [램오버] 국민램오버 따라하기 (AMD)
기가바이트 보드 기준으로 설명드리고 ASUS, MSI, Asrock 은 램타이밍 설정화면 스샷을 첨부합니다
1. 슬롯 좌측으로부터 2번,4번에 램을 장착합니다 (모든 보드제조사 권장사항으로 사용자매뉴얼에 명시)
잘 안되면 4번,2번으로 자리 맞바꿈
또한 2번,4번이 인식을 못하거나 오버가 잘 안될 때는 1번,3번으로 바꿔 장착하세요
2. 바이오스 리셋을 해줍니다 : SAVE & EXIT > Load Optimized Defaults 클릭
ASUS : Exit > Load Optimized Defaults
기가바이트 : Save & Exit > Load Optimized Defaults
MSI : Settings > Save & Exit > Restore Defaults
애즈락 : Save & Exit > Load UEFI defaults
3. 목표치는 국민램오버입니다 : 3200클럭에 램타 16-18-18-18-36 입니다 (CR 1T는 자동입니다)
5개의 1차(기본)타이밍값을 순서대로 입력하면됩니다 (ASUS, MSI, Asrock 모두 순서가 동일합니다)
2차,3차 타이밍은 전부 Auto 입니다
램전압은 1.35V 부터 시작합니다
(기가바이트보드는 바이오스 설정전압 대비 실제인가전압이 0.02V 더 들어가므로 1.33V부터 시작해도 됩니다)
MIT의 Advanced Memory Settings 화면에서 램배수(32) 및 1차램타 5개를 입력합니다
MIT의 Advanced Voltage Settings 화면으로 옮겨서 램전압을 설정해줍니다
설정이 끝났으면 Save & Exit 화면으로 가서 바이오스프로파일로 Save 하시고 (필요시 load)
F10으로 저장한 후 빠져나오면 부팅이 시작됩니다
아래 화면은 ASUS 램타이밍 설정화면입니다 : 차례대로 16-18-18-18-36 입력하면 됩니다
아래 화면은 MSI 램타이밍 설정화면입니다 : 차례대로 3200 / 1.350V / 16-18-18-18-36 입력하면 됩니다
아래 화면은 Asrock 램타이밍 설정화면입니다 : 차례대로 16-18-18-18-36 입력하면 됩니다
<램 다이 및 주차 확인 방법>
1) 실물 : 2666 이 램클럭속도 (PC4-21300) CB2 의 첫자리가 다이표시 (C다이) 1821은 2018년21주차
2) 램이 장착된 후에는 CPU-Z의 SPD 항목에서 설치된 램슬롯번호를 선택하여 확인 가능합니다
<CPU-Z 의 Memory 항목>
바이오스에서는 1차타이밍 5개를 입력했는데 CPU-Z 에서는 4개만 보여줍니다
바이오스의 두번째 세번째값인 tRCDRD(18)와 tRCDWD(18) 2개의 값을
CPU-Z에서는 두번째인 tRCD(18) 1개값으로 보여주네요 (통상 2개의 값을 동일하게 주거덩요)
2차램타중에서 자주 조이는 값이 tRC 와 tRFC가 있는데 tRC는 CPU-Z 에서 보여주는 반면,
tRFC는 라이젠에서 안보여주는데 RTC(Ryzen Timing Checker) 이란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확인가능합니다
<램 성능 벤치 프로그램>
Aida64 프로그램에서 램성능척도로서 Latency를 측정해줍니다
설치 후에 상단메뉴의 도구 - 캐쉬와 메모리 벤치마크 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새창이 뜨게 됩니다
3200클럭 국민오버시 레이턴시가 피너클릿지 기준 대략 70.0ns 정도입니다 (램 노오버 순정시 85.0ns 정도)
(서밋릿지가 젤 느리고 레이븐릿지가 그 다음입니다)
'컴퓨터 공학부 > 컴퓨터학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버클럭 | 전문 오버클라커의 막시무스 X 히어로 오버 가이드 (0) | 2021.01.20 |
---|---|
사용자의 사례)윈도우10 레드스톤3 게임 중 멈춤현상.. 해결.. (0) | 2021.01.19 |
OS | 윈도우10 탐샊기 프리징 현상 (0) | 2021.01.18 |
[팁] 윈도우10 레드스톤4 -----> 레드스톤3 (0) | 2021.01.17 |
MSI 메인보드 바이오스 업데이트 하기 (0) | 2021.01.16 |